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적 자유를 위해 알아야 할 나만의 ETF 포트폴리오 만들기 2편

by 리치조이 2023. 8. 12.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경제적 자유를 위해 알아야 할 나만의 ETF 포트폴리오 만들기 2편입니다. 1편을 보지 못한 분들을 위해 아래에 링크 걸어놓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을 읽고 해당 포스팅을 읽으시면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 알아야 할 나만의 ETF 포트폴리오 만들기

경제적 자유를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설명드린 적이 있습니다. 아직 확인하시지 못하셨으면 다음 글을 읽고 오시면 해당 포스팅의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

towards-financial-freedom.tistory.com

저번 포스팅에서는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자산배분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자산배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계좌를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유튜브 박곰희TV 채널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영상에서는 계좌 6개와 자산군 6개를 먼저 소개합니다. 오늘은 자산분배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필요한 계좌 6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 포트폴리오

 

 

1. CMA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현금 관리 계좌라는 뜻입니다. 이체 수수료가 없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현금 보관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시중 은행 입출금 통장보다 이율이 높기 때문에 파킹통장로 많이 사용됩니다. CMA는 단기금융상품 자동투자되는 계좌로 이체 수수료 무료이며 예금자보호는 되지 않습니다. 또한 체크, 신용카드 발급 가능하고, 타계좌로 이체하여 다양한 투자하기에 용이합니다.

ㄱ. RP형

증권사 계좌에 돈을 넣어 놓으면 증권사가 그대로 돈을 빌려 쓰고 이자와 함께 넣어주는 형태.

ㄴ. MMF형

단기금융시장에 돈이 갔다가 이자와 함께 들어오는 것. 이자가 약간 유동적이다.

ㄷ. Wrap형

예금으로 증권금융에 하루동안 갔다가 돌아오는 형태. 가장 안정적임. 

ㄹ. 발행어음형 

내가 넣어놓은 돈을 증권사가 빌렸다가 이자와 함께 넣어주는 형태. RP형과 다른 점이라고 하면 RP형은 국채, 특수채, 회사채 등 신용등급 A0이상 채권에만 투자하고, 발행어음형의 경우 발행사가 직접 발행하고 약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때문에 RP형보다 발행어음형이 일반적으로 이율이 더 높습니다.

 

2. 위탁계좌

먼저 위탁 계좌 중 지점계좌인지 다이렉트 계좌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지점계좌는 유선주문 0.5%, 온라인 0.2%의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만약 지점계좌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다이렉트 계좌로 변경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근 개설하여 휴대폰이나 PC로 매매하시는 계좌는 대부분 다이렉트 계좌일 것입니다. 다이렉트 계좌일 경우 온라인 0.015%, 평생우대 0%로 수수료가 0에 수렴하니 혹시 지점계좌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다이렉트 계좌로 바꾸셔서 수수료 비용을 줄이시기 바랍니다.  또한 개설한지 오래된 계좌는 높은 수수료를 내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때문에 수수료 혜택이 큰 요즘 신규 계좌를 개설해 주식이체(주식타사대체출고)를 하시는 것도 수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주식타사대체출고를 하는 경우 종목당 수수료를 부과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출고를 하시기 전에 종목을 줄여서 옮기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연금저축 

연금저축계좌는 어느 증권사든 활용도 거의 비슷합니다. 계좌 자체 수수료 없으며, 연금저축계좌 또한 금융사 간의 이동 가능한 '연금이전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IRP가 이미 있으면 개설 필요 없습니다. IRP계좌가 세액공제 금액 한도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존계좌 있으면 연결해서 바로 개설 가능합니다. 계좌도 여러 개 개설 가능하지만 한도는 통합관리 해야 함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4. ISA(자산배분용)

위탁계좌와 함께 사용되며 배당주, 리츠, ETF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3~5년에 한번 파는 것을 받아들여야 하며 이게 귀찮고 신경 쓰기 싫으신 분들이면 위탁계좌로만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5. IRP

IRP계좌 역시 연금저축계좌와 같이 어느 증권사든 활용도 거의 비슷하고, 증권사들은 보통 자체 수수료 없습니다. 원금보장상품 함께 운용 가능하고, 연금저축보다 ETF 개수 적어 투자에 불편함을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통합한도관리를 하셔야 하고 마찬가지로 여러개 개설 가능하지만 한 금융사에는 한 개만 가능합니다.

 

 6. 금현물

가장 장점이 많은 '금현물 시장'을 위해 개설하는 계좌입니다. 금현물 전용으로 새로 열어야 하거나, 위탁계좌를 열고 금현물로 변경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요즘 주식계좌는 대부분 수수료가 0에 가깝지만 금현물계좌는 수수료 0.2% 정도에다 할인 이벤트도 없습니다. 아마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없어서 그런 것이라 추측됩니다. 저도 아직 금현물용 계좌는 개설하지 않았는데, 공부를 더 해보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면 개설할 예정입니다.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박곰희 TV 자산분배 포트폴리오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산분배 포트폴리오 구성에 들어가기 전에 필요한 계좌는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6개의 계좌를 설명드렸지만 꼭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6개를 모두 만 들 경 우 풀옵션에 해당하는 것이고, 자신의 성향에 맞춰 3~4가지 정도로 간추려서 투자하는 것도 좋습니다. 모두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