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연금저축펀드 및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 총정리

by 리치조이 2023. 8. 5.

연금저축펀드 및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혜택은 무엇인지 알고계시나요? 연금저축은 노후를 준비하는 대표적인 저축상품인데요. 직접 노후를 준비하는 상품인 만큼 세액공제 혜택도 매우 쏠쏠합니다. 연금저축펀드 및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과 한도는 얼마인지에 대해 총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및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이란?

먼저 연금저축펀드로 들어가기 전에 연금저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연금저축이란 말 그대로 은퇴 후 연금처럼 받을 수 있도록 저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금저축에는 연금저축보험(보험사 가입), 연금저축펀드(증권사에 가입, 국내펀드, 국내ETF, 리츠에 투자가능), 연금저축신탁이 있습니다. 이 중 저희는 사람들이 제일 많이 궁금해하고, 또 제일 많이 가입하는 연금저축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란?

연금저축펀드는 증권사에 가입하는 연금저축상품으로 국내펀드, 국내ETF, 리츠에 투자가능합니다. 또한,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연봉 5,500만 원 이하 : 16.5% / 연봉 5,500만원 이상 : 13.2%)까지 받을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펀드가 좋은 이유는 이렇게 세액공제, 과세이연 효과를 누리다가 세금은 나중에 연금으로 받을 때 3.5%에서 5.5%(55세 : 5.5%, 70세 : 4.5%, 80세 : 3.5%)로 납부하면 되기 때문에 투자에서 돈을 벌게되더라도 세금으로 다 떼가고 나면 어떡하지? 란 걱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소한 단어와 함께 숫자들이 나오니 어렵게 느껴지실겁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0년간 5천만원(원금)을 연금저축펀드에 넣어서 투자했는데, 수익금이나 배당금을 받아서 1억으로 불어난다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첫 번째 세액공제로 825만원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5천만원에 대한 16.5%) 이 돈은 곧바로 재투자해서 복리로 불릴 수 있는 돈입니다. 두 번째로 배당주에 투자 시 배당소득세 492만원의 이득이 생깁니다. 이는 20년간 평균 투자금이 4천만 원이고, 4%의 배당을 매년 받았을 때를 가정하고 산출한 금액입니다. 이 돈 또한 늦게 내면서 복리로 불릴 수 있는 돈입니다. 이렇게 했을 때 약 1,300만 원 정도의 이득이 생깁니다. 그러면 이제 내야 되는 세금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받게되면 그때 세금을 과금하게 되는데 이때 1억 원에 대한 5.5%인 550만 원이 세금으로 부과됩니다. 이 또한, 나눠 내면서 복리로 불릴 수 있는 돈입니다. 이렇게 단순히 계산해 보아도 825 + 492 -550=약 750만 원의 차익이 발생합니다. 여기에 복리로 굴릴 수 있는 돈의 이익까지 생각하면 그 이상이 될 것입니다. 이런 점을 잘 활용하셔서 연말정산에서도 혜택 누리시고, 절세효과까지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은 연금저축펀드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개인형 퇴직연금 IRP상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상기 내용은 유튜브의 '게으른 개미의 잃지 않는 가치투자'채널의 영상을 참고로 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youtu.be/9bMzZyRMm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