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주식용어 중 "자본잠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잠식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자본이 잠식된 것을 일컫습니다. 자본잠식의 구체적인 뜻과 자본잠식률의 계산, 그리고 이 자본잠식이 주식에서 어떻게 취급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자본이란?
자본은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의 합 또는 자본금과 결손금의 차로 볼 수 있습니다. 풀어서 설명을 드려보면 자본금은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위한 기초자산에서 출발한 금액이고, 사업에서 이익이 나면 이익잉여금 손해가 발생하면 결손금이 생깁니다. 그래서 기초자산에서 이익잉여금까지 합하는 것 또는 기존 기초자산에서 결손금을 뺀 나머지를 자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본 = 자본금(기초자산) + 이익잉여금 or 자본 = 자본금(기초자산) - 결손금
자본잠식이란?
자본잠식은 순자산(자본)보다 더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회사라면 재무 상태는 '자본=자본금 + 잉여금'이라는 구조를 갖추게 되지만 ,계속해서 적자가 나 결손금이 누적되면 기존의 잉여금으로 결손을 메워야 합니다. 그렇기에 자본잠식에서 집중해서 볼 것은 위의 내용 중 결손금입니다. 위의 내용처럼 사업을 하며 손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결손금이 계속 발생합니다. 이 경우 기초자산을 깎아 먹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자본잠식입니다. 자본잠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부분자본잠식 : 자본 < 자본금
부분자본 잠식은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아지게 되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을 위한 자본금(기초자산)이 1억이였고, 결손금이 3천만 원 발생한 경우 자본은 7천만 원(1억 -3천만 원)이 됩니다. 이 경우 자본은 자본금보다 작아지고 이를 부분자본잠식이라고 부릅니다. 자본잠식률은 (자본금 - 자본)/ 자본금 으로 계산되는데,자본잠식률을 클수록 결손금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자본잠식률이 클수록 부실한 기업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든 위의 기업의 경우 자본잠식률은 30%로 계산됩니다. 자본잠식률이 50% 이상 지속되면 투자자보호를 위해 관리종목 지정되며 자본잠식률 50% 이상이 2년이 지속되면 상장폐지가 됩니다.
2.완전자본잠식
완전자본잠식은 자본이 0보다 작은 상태를 말합니다. 앞서 말한 자본금(기초자산)을 결손금으로 모두 깎아먹거나 결손금이 자본금 이상 발생했을 경우입니다. 이 경우 자본잠식률을 계산해 보면 자본잠식률은 100% 이상이 됩니다.완전자본잠식은 즉시 상장폐지됩니다. 그러니 주식을 투자할 때 재무제표를 살펴 자본잠식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상장폐지
상장폐지는 증권거래소에서 증권이 매매대상 유가증권의 적격성을 상실하고,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상장 회사의 자발적 신청에 따른 경우도 있고(최근 오스템임플란트의 경우가 있죠), 증권거래소가 직권으로 단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파산 등 경영상 중대 사태가 발생해 투자자에게 손실을 보게 하거나 증시질서의 신뢰를 훼손하게 할 우려가 있는 경우, 증권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증권관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상장폐지 사유가 해소되지 않는 한 일정기간 뒤에 상장이 폐지된다는 사실을 공시합니다.
상장폐지 요건
1. 매출액 50억원 미만 2년 연속
2. 연말 자본금 전액 잠식
3. 관리종목 지정 뒤 시가총액 부족 상태 지속
4. 감사 의견을 '부적정 의견', '한정 의견', '의견 거절'로 표명한 경우
5. 분기 월 평균 거래량이 유동 주식 수의 1% 미만 상태가 2분기 연속 지속될 경우
6. 소액주주 수 200인 미만(또는 지분 20%미만)이 2년 연속될 경우
7. 최종 부도, 횡령, 배임이 발생한 경우
8. 분기 별 사업보고서 제출 기한 후 10일 내 미제출 등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가 입장에서 자본잠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산을 증가시키거나 부채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그 방법은 아주 다양하지만 크게 무상감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시간에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와 국민소득 의미와 차이 (3) | 2023.09.28 |
---|---|
초보 주식용어 총정리 (무상감자와 유상감자 주식시장에서의 의미) (0) | 2023.09.22 |
83회 테셋 시험 대비 경제용어 알기 (0) | 2023.09.14 |
존리 대표의 투자철학과 부자되는 습관 (0) | 2023.08.26 |
티끌모아 태산의 정석, 쉽게 할 수 있는 앱테크 추천 best 3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