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월급 200만 원 받은 직장인의 재테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필수로 나가야 되는 돈 고정지출을 제외하고 자신에게 온전히 남아있는 돈이 얼마인지 체크해봐야 합니다. 그래야 저축을 하고 투자까지 나아갈 수 있습니다.
통장 쪼개기
세후 200만 원을 월급을 받으면 통신비, 공과금, 월세, 보험비, 은행이자 등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생활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제외하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이 금액은 처음부터 빼놓고 시작하는 게 맞습니다. 만약 고정지출 50만 원을 제외하고 남은 동에서 우리는 다시 분류를 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통장분리를 강조하는 것 또한 이런 개념에 있습니다.
어떻게 쪼개야 하나?
각종 지출을 빼고, 나머지 150만 원이 남았습니다. 그러면 이 돈을 다시 어떻게 나눠서 분리를 해야할까요? 저의 추천 비율은 이렇습니다.
150만원 중 40%는 변동지출로 두는 겁니다. 즉, 생활비로 사용하는 것이죠. 평소 경험해 보고 싶었던 것, 사고 싶었던 것을 사는 대신 60만 원이라는 한도를 정해놓음으로써 과소비를 막고 예산에 맞게 생활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소비습관을 들이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나머지의 30%은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저축하는 것입니다. 요즘 적금금리가 많이 떨어졌지만 그래도 2~3%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에 조금이라도 이율이 높은 적금상품에 가입하면 좋겠지만 꼭 거기에 매달리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저희의 우선순위 목표는 목돈을 모아 투자자금의 기반을 다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돈을 모은다.'가 중요한 것이지 이 돈으로 받을 수 있는 이자가 얼마인지가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또, 이렇게 모은 돈으로 나중에 투자를 잘할 수 있도록 차곡차곡 돈을 모으면서 동시에 투자에 대해 공부를 해나가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30% 큰 이벤트를 위한 목적자금으로 저축하는 것입니다. 살다 보면 우리는 큰 이벤트에 마주하게 됩니다. 주택자금이 필요할 때도 있고, 결혼자금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큰 목돈이 들어갈 일이 생길 때를 대비하지 않으면 우리는 투자를 위해 모으던 돈에 관심을 갖게 되고 결국 그 돈으로 우선 급한 불을 끄게 되죠. 그렇게 투자와는 점점 멀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 이벤트를 위한 목적자금을 미리 대비하여 다른 목적을 위해 모아놓은 돈에 눈길을 돌리는 일을 없게 만들어야 합니다.
부자가 되기 위한 마인드셋
이렇게 200만 원 받아서 60~70만 원씩 저축해서 언제 부자가 될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실 겁니다. 저 또한 그런 고민을 많이, 오랫동안 했었습니다. 지금도 진행 중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저축은 투자를 위한 초석입니다. 세상에 투자를 하기 좋은 시기란 없습니다. 어느 날 나한테 목돈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날도 없을 겁니다.(로또를 제외하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한 계단 한계단 올라가야 하고, 그렇게 저축이 쌓이다 보면 이 돈을 어디에 투자해 보지?라는 생각과 관심이 생길 겁니다. 돈을 차곡차곡 모으는 동안 투자에 대해 공부해 왔다면 말이죠. 그렇게 우리는 부자가 되기 위해 한걸음 한걸음 묵묵히 또 성실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요즘 코인으로 벼락부자, 부동산으로 한방에 몇억 벌었다는 걸 보면 이렇게 묵묵히 저축하는 내가 바보처럼 느껴질 때도 분명히 있으실 겁니다. 저 또한 그렀고요... 하지만 우리는 오랫동안 단단히 세운 기둥이니만큼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란 믿음을 가지고 끝까지 나아가셔야 합니다. 모두 부자가 되기 위해 건강한 마인드셋을 합시다. 파이팅!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리 대표의 투자철학과 부자되는 습관 (0) | 2023.08.26 |
---|---|
티끌모아 태산의 정석, 쉽게 할 수 있는 앱테크 추천 best 3 (0) | 2023.08.19 |
경제상식 채권투자 기본편 (0) | 2023.08.17 |
뉴스로 경제 흐름 읽기 (0) | 2023.08.16 |
돈 못버는 사람들의 5가지 투자 습관 (0) | 2023.08.15 |